소가하타 히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가하타 히토시는 일본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1998년부터 2020년까지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활약하며 J1리그 6회 우승, J리그컵 5회 우승, 천황배 4회 우승을 이끌었다. 2001년 J리그컵 뉴히어로상, 2002년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으며,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도 기여했다. 1998년 AFC U-19 챔피언십,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4경기에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가시마 앤틀러스의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 출신 축구 선수 - 오쓰 유키
오쓰 유키는 가시와 레이솔에서 데뷔하여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J1리그 우승을 포함한 다양한 우승을 경험하고 2012년 런던 올림픽 U-23 일본 대표로도 활약한 후 2023년 은퇴한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다. - 이바라키현 출신 축구 선수 - 와코 나오키
와코 나오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으며, 2008년 반포레 고후에서 데뷔하여 여러 팀을 거쳐 아비스파 후쿠오카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23년 은퇴 후 가시와 레이솔 U-12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팀 케이힐
팀 케이힐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축구 선수로, 다양한 클럽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골 결정력과 투지 넘치는 플레이를 선보인 인물이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한나 융베리
한나 융베리는 스웨덴의 전 여자 축구 선수로, 우메오 IK에서 다말스벤스칸 7회 우승과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을 이끌고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72골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2009년 은퇴 후에는 우메오 IK 코치와 물리치료사로 활동했다. - 가시마 앤틀러스의 축구 선수 - 나카타 고지
나카타 고지는 J리그와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을 포함한 다양한 우승 경력을 가진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국가대표로서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4년 AFC 아시안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클럽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 가시마 앤틀러스의 축구 선수 - 오가사와라 미쓰오
오가사와라 미쓰오는 '동북의 판타지스타'로 불리며 유소년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낸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J리그 MVP를 수상하고 일본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뛰어난 패스 능력과 리더십, 적극적인 수비 가담으로 유명하다.
소가하타 히토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소가하타 히토시 |
본명 | 曽ヶ端 準 |
로마자 표기 | Sogahata Hitoshi |
별칭 | 가시마의 수호신 소가 소가상 |
출생일 | 1979년 8월 2일 |
출생지 | 이바라키현 가시마시 |
키 | 187cm |
몸무게 | 80kg |
포지션 | 골키퍼 |
주발 | 오른발 |
선수 경력 | |
유스 클럽 1 | JPN 나미노 축구 소년단 |
유스 년도 1 | 1986-1991 |
유스 클럽 2 | JPN 가시마 시립 가시마 중학교 |
유스 년도 2 | 1992-1994 |
유스 클럽 3 | JPN 가시마 앤틀러스 유스 (가시마 고등학교) |
유스 년도 3 | 1995-1997 |
클럽 1 | JPN 가시마 앤틀러스 |
년도 1 | 1998-2020 |
출장 1 | 533 |
득점 1 | 0 |
통산 출장 | 533 |
통산 득점 | 0 |
클럽 성적 업데이트 날짜 | 2020년 12월 24일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 년도 1 | 2004 |
대표 1 | 일본 U-23 (O.P.) |
대표 출장 1 | 3 |
대표 득점 1 | 0 |
대표 2 | 일본 |
대표 년도 2 | 2001-2003 |
대표 출장 2 | 4 |
대표 득점 2 | 0 |
대표 성적 업데이트 날짜 | 2003년 9월 10일 |
수상 내역 | |
소속팀 | 가시마 앤틀러스 |
우승 | AFC 챔피언스리그 2018 |
우승 | J1리그 1998 |
우승 | J1리그 2000 |
우승 | J1리그 2001 |
우승 | J1리그 2007 |
우승 | J1리그 2008 |
우승 | J1리그 2009 |
우승 | J1리그 2016 |
준우승 | J1리그 2017 |
우승 | J리그컵 2000 |
우승 | J리그컵 2002 |
우승 | J리그컵 2011 |
우승 | J리그컵 2012 |
우승 | J리그컵 2015 |
준우승 | J리그컵 1999 |
준우승 | J리그컵 2003 |
준우승 | J리그컵 2006 |
우승 | 천황배 2000 |
우승 | 천황배 2007 |
우승 | 천황배 2010 |
우승 | 천황배 2016 |
준우승 | 천황배 2002 |
국가 | 일본 |
대회 | AFC U-16 챔피언십 |
우승 | 1994 카타르 |
기타 | |
완전 경기 | 2009년 11월 9일, 가시마 J리그 역사상 최초로 피슛 0의 완전 경기 달성 닛칸스포츠 기사 |
2. 클럽 경력
소가하타 히토시는 1979년 8월 2일 이바라키현 가시마시에서 태어났다. 1998년 고향 팀인 J1리그 가시마 앤틀러스에 유소년 팀에서 승격하여 입단했다. 1999년 5월 8일 아비스파 후쿠오카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2]
2001년 다카쿠와 다이지로를 대신하여 주전 골키퍼가 되었고, 오랫동안 주전으로 활약하며 2014년 시즌 마지막 경기까지 244경기 연속 출전이라는 J1리그 신기록을 세웠다.
2015년 J1리그에서 모든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지만, J리그컵에서 우승했다. 2016년 J1리그 우승 후 2016년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하여 4경기에 모두 출전, 준우승을 차지했다.[5]
2017년 권순태 영입으로 주전 경쟁을 펼쳤으나,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4경기에 출전하여 팀의 첫 아시아 타이틀 획득에 기여했다. 2020년 12월 24일 은퇴했다.[6]
2012년 3월 31일 J1리그 4라운드 요코하마 F. 마리노스전에서 구단 공식 경기 통산 최다 출전(475경기), 8월 18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전에서 리그전 구단 최다 출전(360경기), 8월 25일 알비렉스 니가타전에서 구단 공식 경기 통산 500경기를 달성했다.
2013년 7월 31일 J1리그 18라운드 나고야 그램퍼스전에서 국내 3대 대회 통산 5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2014년 4월 12일 J1리그 7라운드 니가타전에서 리그전 217경기 연속 출전을 달성하며, FC 도쿄 소속이었던 도이 요이치의 기록을 경신했다.[10]
2015년 3월 8일 1st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 벤치에 앉아 출전하지 못하면서(사토 아키히로 선발 출전) 2007년 10월 20일 주빌로 이와타전부터 이어져오던 J리그 연속 풀타임 출전 경기 기록이 244경기에서 멈추었다.
2017년 4월 16일 7라운드 베갈타 센다이전에서 J1리그 통산 5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11]
2018년 시즌에는 권순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지만 J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 경기가 겹쳐 권순태가 출전하지 않는 경우 주전으로 출전, 오이와 고 감독에게 "믿음직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12]
2019년 시즌에는 권순태에게 완전히 자리를 빼앗겨 리그전 출전은 4경기에 그쳤다. 2020년 시즌에는 오키 유야가 주전으로 자리 잡으면서 3번째 골키퍼로 내려갔고, 리그전 1경기 출전에 그쳤다.
2. 1. 가시마 앤틀러스
소가하타 히토시는 1998년 고향 팀인 가시마 앤틀러스에 입단하여 2020년 은퇴할 때까지 가시마에서만 뛰었다. 2000년까지는 다카쿠와 다이지로에 가려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2000년 J리그컵 준결승과 결승전에 출전하여 팀의 우승에 기여했고, 뉴 히어로 상을 수상했다.[3][4] 2001년부터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J1리그 6회 우승, J리그컵 5회 우승, 천황배 4회 우승 등 많은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2001년 J1리그 우승, 2002 시즌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고, 2002년 J리그컵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가시마의 J1리그 3연패를 이끌었으며, 2010년 천황배, 2011년과 2012년 J리그컵 우승에도 기여했다.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모든 경기에 출전했고,[2] 2014년에는 J1리그 244경기 연속 출전 기록을 세웠다.
2015년 J리그컵 우승, 2016년 J1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6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준우승을 이끌었다.[5] 2017년에는 권순태와의 주전 경쟁에서 밀리기도 했지만,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4경기에 출전하여 팀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
2020년 12월 24일, 20년 이상 팀에 헌신한 후 은퇴를 발표했다.[6]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아시아 | 기타 | 총합 | |||||||
---|---|---|---|---|---|---|---|---|---|---|---|---|---|---|
리그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가시마 앤틀러스 | 1998 | J1리그 | 0 | 0 | 0 | 0 | 0 | 0 | – | – | 0 | 0 | ||
1999 | 4 | 0 | 0 | 0 | 0 | 0 | – | – | 4 | 0 | ||||
2000 | 2 | 0 | 1 | 0 | 3 | 0 | – | – | 6 | 0 | ||||
2001 | 21 | 0 | 2 | 0 | 6 | 0 | – | 2 | 0 | 31 | 0 | |||
2002 | 30 | 0 | 5 | 0 | 3 | 0 | 5 | 0 | 1 | 0 | 44 | 0 | ||
2003 | 30 | 0 | 4 | 0 | 5 | 0 | 0 | 0 | – | 39 | 0 | |||
2004 | 27 | 0 | 3 | 0 | 6 | 0 | – | – | 36 | 0 | ||||
2005 | 34 | 0 | 3 | 0 | 4 | 0 | – | – | 41 | 0 | ||||
2006 | 22 | 0 | 4 | 0 | 3 | 0 | – | – | 29 | 0 | ||||
2007 | 32 | 0 | 5 | 0 | 10 | 0 | – | – | 47 | 0 | ||||
2008 | 34 | 0 | 2 | 0 | 2 | 0 | 8 | 0 | 1 | 0 | 47 | 0 | ||
2009 | 34 | 0 | 4 | 0 | 2 | 0 | 7 | 0 | 1 | 0 | 48 | 0 | ||
2010 | 34 | 0 | 6 | 0 | 2 | 0 | 7 | 0 | 1 | 0 | 50 | 0 | ||
2011 | 34 | 0 | 3 | 0 | 3 | 0 | 7 | 0 | 1 | 0 | 48 | 0 | ||
2012 | 34 | 0 | 4 | 0 | 9 | 0 | – | 1 | 0 | 48 | 0 | |||
2013 | 34 | 0 | 3 | 0 | 6 | 0 | – | 1 | 0 | 40 | 0 | |||
2014 | 34 | 0 | 1 | 0 | 5 | 0 | – | – | 40 | 0 | ||||
2015 | 24 | 0 | 0 | 0 | 5 | 0 | 6 | 0 | – | 35 | 0 | |||
2016 | 34 | 0 | 6 | 0 | 2 | 0 | – | 8 | 0 | 50 | 0 | |||
2017 | 23 | 0 | 3 | 0 | 1 | 0 | 1 | 0 | 0 | 0 | 28 | 0 | ||
2018 | 7 | 0 | 3 | 0 | 4 | 0 | 4 | 0 | 1 | 0 | 19 | 0 | ||
2019 | 4 | 0 | 4 | 0 | 1 | 0 | 1 | 0 | – | 10 | 0 | |||
2020 | 1 | 0 | 0 | 0 | 1 | 0 | 0 | 0 | – | 2 | 0 | |||
통산 | 533 | 0 | 66 | 0 | 83 | 0 | 46 | 0 | 18 | 0 | 744 | 0 |
- 기타: 일본 슈퍼컵 (2002, 2008, 2009, 2010, 2011), J리그 챔피언십 (2001, 2016), 수루가 뱅크 챔피언십 (2012, 2013, 2016)
3. 국가대표팀 경력
2000년부터 필립 트루시에 감독이 이끄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A대표)에서 활약했다. 국제 A매치 데뷔전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는 가와구치 요시카쓰와 나라자키 세이고의 부상으로 출전 기회를 얻어, 침착한 플레이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7] 2002년 FIFA 월드컵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가와구치 요시카쓰와 나라자키 세이고에 밀려 출전하지는 못했다.[7] 2003년까지 A매치 4경기에 출전했다.[7]
2004년 8월,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와일드카드로 일본 U-23 대표팀에 합류하여[5] 세 경기 모두 출전했지만, 일본은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후 대표팀에서 제외되었다가, 2010년 10월 9일 가와시마 에이지의 부상으로 일본 대표팀에 추가 발탁되었다.[15]
- A매치 첫 출전 - 2001년 11월 7일 키린 챌린지컵 2001 대 이탈리아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9]
- A매치 첫 무실점 경기 - 2002년 4월 29일 기린컵 2002 대 슬로바키아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9]
3. 1. 청소년 대표팀
1994년 AFC U-16 챔피언십에 일본 U-17 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하여 일본의 사상 첫 AFC U-17 아시안컵 우승과 2년만의 AFC 주관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1]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일본 U-23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나, 팀은 가나와의 최종전에서야 겨우 승리를 거두었고 B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1]3. 2. 성인 대표팀
2001년 11월 7일 UEFA 유로 2000 준우승팀인 이탈리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일본 A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나, 이후 가와구치 요시카쓰, 나라자키 세이고 등에 밀려 많은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7][9]이듬해 자국에서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23인 엔트리에 합류하여 일본의 사상 첫 월드컵 16강 진출에 힘을 보탰으나, 대회 내내 주전인 나라자키 골키퍼가 4경기에 모두 선발로 출전하면서 월드컵 본선 무대를 1경기도 밟지 못했다. 결국 2003년 A매치 통산 4경기 출전 기록만 남긴 채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7]
2010년 10월 9일 가와시마 에이지의 부상으로 일본 대표팀에 추가로 발탁되었다.[15]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
일본 | 2001 | 1 | 0 |
2002 | 1 | 0 | |
2003 | 2 | 0 | |
2010 | 0 | 0 | |
합계 | 4 | 0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2001년 11월 7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1-1 | 필립 트루시에 | 기린 챌린지컵 | |
2. | 2002년 4월 29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경기장 육상 경기장 | ○1-0 | 기린컵 | ||
3. | 2003년 8월 20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경기장 육상 경기장 | ○3-0 | 지쿠 | 기린 챌린지컵 | |
4. | 2003년 9월 10일 | 니가타현 | 니가타 스타디움 | ●0-1 | 기린 챌린지컵 |
4. 은퇴 후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가시마 앤틀러스의 어시스턴트 GK 코치를 역임했으며, 2023년부터 유스 GK 코치를 맡았다.
2025시즌부터 가시마 앤틀러스의 톱팀 GK 코치에 취임했다.[16]
5. 플레이 스타일
슛과 크로스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판단을 통해 불필요한 동작 없이 다음 상황에 대비한다. 킥과 스로잉도 정확하여 가시마 앤틀러스의 역습 발동의 시발점이 된다. 코칭에도 능하다.[17] 참고로, 코칭을 자주 하는 것은 팀 동료뿐만 아니라 자신의 집중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이기도 하다.[18]
6. 수상 기록
가시마 앤틀러스 | |
---|---|
J1리그 | 1998년, 2000년, 2001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6년 |
J리그컵 | 2000년, 2002년, 2011년, 2012년, 2015년 |
천황배 | 2000년, 2007년, 2010년, 2016년 |
슈퍼컵 | 1999년, 2009년, 2010년, 2017년 |
AFC 챔피언스리그 | 2018년 |
개인 | |
J리그컵 뉴 히어로 상 | 2001년 |
J리그 베스트 일레븐 | 2002년 |
소가하타 히토시는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J1리그 6회, J리그컵 5회, 천황배 4회, 슈퍼컵 4회, AFC 챔피언스리그 1회 우승을 차지했다. 개인적으로는 J리그컵 뉴 히어로 상(2001년)과 J리그 베스트 일레븐(2002년)에 선정되었다.
6. 1. 클럽
소가하타 히토시는 1998년 고향팀인 가시마 앤틀러스에 입단하여 2020년 은퇴할 때까지 이적 없이 가시마에서만 공식전 744경기에 출장한 골키퍼이다. 그는 가시마에서 J1리그 6회 우승, J리그컵 5회 우승, 천황배 4회 우승, 2003년 A3 챔피언스컵 우승,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수루가 뱅크 챔피언십 2회 우승 등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2001년 당시 주전 골키퍼였던 다카쿠와 다이지로를 대신하여 주전 자리를 차지한 소가하타는 이후 꾸준히 가시마의 골문을 지켰다. 2012년 3월 31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전에서는 구단 공식 경기 통산 최다 출전(475경기) 기록을 세웠고, 같은 해 8월 18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전에서는 리그전 구단 최다 출전(360경기)을 기록했다. 8월 25일 알비렉스 니가타전에서는 구단 공식 경기 통산 5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2014년 4월 12일 J1리그 7라운드 니가타전에서는 리그전 217경기 연속 출전 기록을 달성하며, 도이 요이치가 가지고 있던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10] 2015년에는 잠시 주전 경쟁에서 밀리기도 했지만, 감독 교체 이후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2017년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골키퍼 권순태의 합류로 주전 경쟁에서 밀렸으나, 시즌 후반부터 다시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4월 16일 베갈타 센다이전에서는 J1리그 통산 500경기 출전 기록을 세웠다.[11]
2018년에는 다시 권순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지만, 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 일정이 겹치는 상황에서 권순태가 출전하지 않을 때 주전으로 출전하며 팀에 기여했다. 비록 출전 기회는 줄었지만, 오이와 고 감독으로부터 "믿음직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12]
2020년에는 젊은 선수인 오키 유야가 주전으로 자리 잡으면서 3번째 골키퍼로 밀려났고, 결국 그 해 12월 24일 현역 은퇴를 발표하며 23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13][14]
다음은 소가하타 히토시가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기록한 리그 및 컵 대회 기록이다.
시즌 | 리그 | 리그 경기 | 리그 득점 | 리그컵 경기 | 리그컵 득점 | 천황배 경기 | 천황배 득점 | 기타 경기 | 기타 득점 |
---|---|---|---|---|---|---|---|---|---|
1998 | J | 0 | 0 | 0 | 0 | 0 | 0 | 0 | 0 |
1999 | rowspan=22 J1 | 4 | 0 | 0 | 0 | 0 | 0 | 4 | 0 |
2000 | 2 | 0 | 3 | 0 | 1 | 0 | 6 | 0 | |
2001 | 21 | 0 | 6 | 0 | 2 | 0 | 29 | 0 | |
2002 | 30 | 0 | 3 | 0 | 5 | 0 | 38 | 0 | |
2003 | 30 | 0 | 5 | 0 | 4 | 0 | 39 | 0 | |
2004 | 27 | 0 | 6 | 0 | 3 | 0 | 36 | 0 | |
2005 | 34 | 0 | 4 | 0 | 3 | 0 | 41 | 0 | |
2006 | 22 | 0 | 3 | 0 | 4 | 0 | 29 | 0 | |
2007 | 32 | 0 | 10 | 0 | 5 | 0 | 47 | 0 | |
2008 | 34 | 0 | 2 | 0 | 2 | 0 | 38 | 0 | |
2009 | 34 | 0 | 2 | 0 | 4 | 0 | 40 | 0 | |
2010 | 34 | 0 | 2 | 0 | 6 | 0 | 42 | 0 | |
2011 | 34 | 0 | 3 | 0 | 3 | 0 | 40 | 0 | |
2012 | 34 | 0 | 9 | 0 | 4 | 0 | 47 | 0 | |
2013 | 34 | 0 | 6 | 0 | 3 | 0 | 43 | 0 | |
2014 | 34 | 0 | 5 | 0 | 1 | 0 | 40 | 0 | |
2015 | 24 | 0 | 5 | 0 | 0 | 0 | 29 | 0 | |
2016 | 34 | 0 | 2 | 0 | 6 | 0 | 42 | 0 | |
2017 | 23 | 0 | 1 | 0 | 3 | 0 | 27 | 0 | |
2018 | 7 | 0 | 4 | 0 | 3 | 0 | 14 | 0 | |
2019 | 4 | 0 | 1 | 0 | 4 | 0 | 9 | 0 | |
2020 | 1 | 0 | 1 | 0 | - | - | 2 | 0 | |
총통산 | J1 | 533 | 0 | 83 | 0 | 66 | 0 | 682 | 0 |
- 기타 공식 경기
- 2001년: J리그 챔피언십 2경기 0득점
- 2002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슈퍼컵 각 1경기 0득점
- 2016년: J리그 챔피언십 3경기 0득점
다음은 소가하타 히토시가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기록한 국제 대회 기록이다.
대회 | 시즌 | AFC 챔피언스리그 경기 | AFC 챔피언스리그 득점 | FIFA 클럽 월드컵 경기 | FIFA 클럽 월드컵 득점 |
---|---|---|---|---|---|
2002-03 | 0 | 0 | - | - | |
2008 | 8 | 0 | - | - | |
2009 | 7 | 0 | - | - | |
2010 | 7 | 0 | - | - | |
2011 | 7 | 0 | - | - | |
2015 | 6 | 0 | - | - | |
2016 | - | - | 4 | 0 | |
2017 | 1 | 0 | - | - | |
2018 | 4 | 0 | 1 | 0 | |
2019 | 1 | 0 | - | - | |
총통산 | 41 | 0 | 5 | 0 |
- 기타 국제 공식 경기
- 2001년 - 2002년: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 5경기 0득점
- 2012년, 2013년, 2016년: 스루가 뱅크 챔피언십 각 1경기 0득점
6. 2. 국가대표팀
소가하타 히토시는 일본 U-17 대표팀 소속으로 1994년 AFC U-16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일본의 사상 첫 AFC U-17 아시안컵 우승에 기여했다.[8] 2001년 11월 7일 UEFA 유로 2000 준우승팀인 이탈리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일본 A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나, 가와구치 요시카쓰, 나라자키 세이고 등에 밀려 많은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8]2002년 2002년 FIFA 월드컵 본선 23인 엔트리에 합류하여 일본의 사상 첫 월드컵 16강 진출에 기여했으나, 주전 골키퍼인 나라자키 세이고가 4경기에 모두 선발로 출전하면서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지는 못했다.[8] 결국 2003년 A매치 통산 4경기 출전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8]
2000년부터 필리프 트루시에 감독이 이끄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A대표)에서 활약했다. 국제 A매치 데뷔전인 이탈리아전에서는 가와구치 요시카쓰와 나라자키 세이고의 부상으로 출전 기회를 얻어 침착한 플레이를 선보이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 대표팀에서 제외되었으나, 2010년 10월 9일 가와시마 에이지의 부상으로 일본 대표팀에 추가로 발탁되었다.[15]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
일본 | 2001 | 1 | 0 |
2002 | 1 | 0 | |
2003 | 2 | 0 | |
합계 | 4 | 0 |
6. 3. 개인
수상 |
---|
J리그컵 뉴 히어로 상 (2001년)[15] |
J리그 베스트 일레븐 (2002년)[15] |
J리그 페어플레이 개인상 (2003년)[15] |
J리그 우수 선수상 (2017년) |
안트러스 공로상 (2022년) |
참조
[1]
웹사이트
FIFA Club World Cup Japan 2016: List of Players: Kashima Antlers
http://www.fifadata.[...]
FIFA
2016-12-14
[2]
문서
(J.League player template missing ID)
[3]
웹사이트
J.League
https://data.j-leagu[...]
[4]
웹사이트
Kashima Antlers
http://www.so-net.ne[...]
[5]
문서
(FIFA player ID template missing ID)
[6]
뉴스
【鹿島】元日本代表GK曽ケ端準が今季限りで引退 鹿島一筋23年
https://hochi.news/a[...]
2020-12-24
[7]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8]
문서
(NFT player template with ID 3468)
[9]
웹사이트
曽ヶ端 準
http://www.jfootball[...]
[10]
뉴스
曽ヶ端、217試合連続出場でJ記録更新! 土肥の記録8年ぶりに抜く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4-04-12
[11]
뉴스
小笠原と曽ヶ端、J1通算500試合達成…出場数歴代トップ10は?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7-04-17
[12]
뉴스
鹿島大岩監督「非常に頼りに」39歳曽ケ端ら労う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8-11-06
[13]
웹사이트
曽ケ端選手 現役引退のお知らせ
https://www.antlers.[...]
鹿島アントラーズ
2020-12-24
[14]
뉴스
【鹿島】元日本代表GK曽ケ端準が今季限りで引退 鹿島一筋23年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0-12-24
[15]
문서
第90回天皇杯全日本サッカー選手権大会#3回戦
[16]
웹사이트
トップチーム コーチングスタッフ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antlers.[...]
2024-12-24
[17]
웹사이트
王者を完封した前節・広島戦。守護神・曽ケ端準の視点
http://blogola.jp/p/[...]
BLOGOLA
[18]
웹사이트
プロサッカー選手曽ヶ端準|スペシャルインタビュー
http://www.business-[...]
ビープラス
[19]
뉴스
鹿島J初!被シュート0の完全試合/J1
https://www.nikkansp[...]
닛칸스포츠
2009-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